1868년 8월 18일 일식

북위 10° 36′ 동경 102° 12′ / 북위 10.6° 동경 102.2°  / 10.6; 102.2최대 구간 폭245 km시간 (UTC)최대식5:12:10출처사로스 주기133 (72개 중 37번 째)목록 # (SE5000)9207

1868년 8월 18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다. 개기일식은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커서 태양을 다 가릴 수 있을 때 일어난다. 개기일식은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 가능하며,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

관측

  • 일식의 스케치, Total Eclipses of the Sun, 1900.
    일식의 스케치, Total Eclipses of the Sun, 1900.
  • M. 스테판의 스케치, Archives des missions scientifiques et littéraires, 1868.
    M. 스테판의 스케치, Archives des missions scientifiques et littéraires, 1868.
  • 개기일식의 경로 예측 지도, Archives des missions scientifiques et littéraires, 1868.
    개기일식의 경로 예측 지도, Archives des missions scientifiques et littéraires, 1868.

헬륨의 발견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장센영국령 인도군투르에서 일식을 관측했다. 이 개기일식은 구스타프 키르히호프의 복사 법칙이 나온 후 첫 개기일식이었다. 장센은 태양홍염의 분광선에서 밝은 노란색( (λ = 587.49 nm)을 발견했다. 또한 장센은 개기일식 없이 태양홍염의 분광선을 관측하는 방법도 찾아냈어. 이 결과는 영국의 천문학자 노먼 로키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고, 장센과 로키어의 결과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1868년 10월 26일 발표되었다.[1][2]

각주

  1. Leggett, Hadley (2009년 8월 18일), 《Aug. 18, 1868: Helium Discovered During Total Solar Eclipse》, wired.com, 2010년 3월 18일에 확인함 .
  2.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C. R. Hebd. Acad. Sci. Paris》 67, 1868: 836–41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1868년 8월 18일 일식
  • v
  • t
  • e
식 목록
세기별
  • 고대
  • 기원전 20세기
  • 기원전 19세기
  • 기원전 18세기
  • 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5세기
  • 기원전 14세기
  •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 1세기
  • 2세기
  • 3세기
  • 4세기
  • 5세기
  • 6세기
  • 7세기
  • 8세기
  • 9세기
  • 10세기
  • 11세기
  • 12세기
  •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 16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 23세기
  • 24세기
  • 25세기
  • 26세기
  • 27세기
  • 28세기
  • 29세기
  • 30세기
사로스 주기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역사
  • 무르실리의 식 (기원전 1312년)
  • 아시리아 식 (기원전 763년)
  • 탈레스의 식 (기원전 585년)
  • 십자가형 어둠
13 November 2012 total solar eclipse
개기/혼성식

다음 개기/혼성식을
나타내는 기호
10 May 2013 annular eclipse
금환식

다음 금환식을
나타내는 기호
23 October 2014 partial eclipse
부분식

다음 부분식을
나타내는 기호
다른 행성
관련 주제
  • 허구 속 일식
이 글은 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