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iVec

POWER, 파워PC, 파워 ISA 아키텍처
NXP (과거 명칭: 프리스케일 & 모토로라)
  • 파워PC e 시리즈 (2006)
    • e200
    • e300
    • e500
    • e600
    • e5500
    • e6500
  • Qor 시리즈 (2008)
    • QorIQ
    • Qorivva
IBM
  • POWER 시리즈 (1990)
    • POWER1
    • POWER2
    • POWER3
    • POWER4
    • POWER5
    • POWER6
    • POWER7
    • 파워8
    • POWER9
    • POWER10
  • 파워PC 시리즈 (1992)
    • 6xx
    • 4xx
    • 7xx
    • 74xx
    • 970
  • A2
  • RS64 (1996)
  • RAD 시리즈 (1997)
    • RAD6000
    • RAD750
    • RAD5500
IBM/닌텐도
  • 게코
  • 브로드웨이
  • 에스프레소
기타
  • 타이탄
  • PWRficient
  • 제논
  • X704
관련 링크
회색: 취소, 기울임체: 역사적
  • v
  • t
  • e

AltiVec(알티벡)은 애플, IBM 및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구 모토로라의 반도체 제품 부문)(AIM 얼라이언스)가 설계하고 소유한 단정밀도 부동소수점 및 정수 SIMD 명령어 집합이다. 이는 모토로라의 파워PC G4, IBM의 G5 및 POWER6 프로세서, P.A. Semi의 PWRficient PA6T를 포함한 PowerPC 프로세서 아키텍처 버전에서 구현된다. AltiVec은 프리스케일이 단독으로 소유한 상표이므로 이 시스템은 애플에서는 벨로시티 엔진(Velocity Engine), IBM 및 P.A Semi에서는 VMX(Vector Multimedia Extension)라고도 호칭한다.

AltiVec은 명령어 세트를 참조하지만 IBM과 모토로라가 생산하는 CPU의 구현은 논리 설계 측면에서 별개이다. 현재까지 IBM 코어에는 모토로라로부터 라이센스를 받은 AltiVec 로직 설계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AltiVec은 Power ISA v.2.03 사양의 표준 부분이다.[1] PowerPC 명령어 형식과 구문을 사용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 명시적으로 할당된 opcode 공간을 차지했지만 이 사양까지는 공식적으로 PowerPC 아키텍처의 일부가 아니었다.

각주

  1. “Power ISA v.2.03” (PDF). Power.org. [깨진 링크]

외부 링크

  • Unrolling AltiVec, Part 1: Introducing the PowerPC SIMD unit at IBM; archived at the Wayback Machine on 2012-09-10
  • AltiVec Technologies at Freescale; archived at the Wayback Machine on 2012-02-04
  • Using data-parallel SIMD architecture in video games and supercomputers at IBM; archived at the Wayback Machine on 2012-02-08
  • Velocity Engine at Apple; archived at the Wayback Machine on 2009-11-28
  • SIMD history and performance comparison
  • v
  • t
  • e
SIMD (RISC)
SIMD (X86)
비트 조작
  • BMI (ABM: 2007, BMI1: 2012, BMI2: 2013, TBM: 2012)
  • ADX (2014)
코드 밀도
보안 및 암호
  • AES-NI (2008); 32비트, 64비트 ARMv8 또한 AES 명령어가 있음
  • CLMUL (2010)
  • RdRand (2012)
  • SHA (2013)
  • MPX (2015)
  • SGX (2015)
트랜잭셔널 메모리
  • TSX (2013)
  • ASF
가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