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가군

수학에서 D가군(영어: D-module)은 미분 연산자들의 환에 대한 가군층이다. 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추상화이며, 또한 평탄한 코쥘 접속을 갖춘 벡터 다발의 일반화이다.

정의

X {\displaystyle X} 표수 0인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한 비특이 대수다양체라고 하고, X {\displaystyle X} 위의 정칙함수들의 층을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라고 하자. 또한, X {\displaystyle X} 위의 (대수적) 벡터장들로 생성되는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D X {\displaystyle {\mathcal {D}}_{X}} 를 생각하자. 이는 미분 연산자들로 간주할 수 있다.

X {\displaystyle X} 위의 D가군 ( M , ) {\displaystyle ({\mathcal {M}},\nabla )}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M {\displaystyle {\mathcal {M}}}
  • k {\displaystyle k} -선형사상 : D X End ( M ) {\displaystyle \nabla \colon {\mathcal {D}}_{X}\to \operatorname {End} (M)} , v v {\displaystyle v\mapsto \nabla _{v}}

이는 다음과 같은 공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모든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의 단면 f {\displaystyle f} , M {\displaystyle {\mathcal {M}}} 의 단면 m {\displaystyle m} , X {\displaystyle X} 위의 벡터장 u , v {\displaystyle u,v} 에 대하여,

  • (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선형성) f v m = f ( v m ) {\displaystyle \nabla _{fv}m=f(\nabla _{v}m)}
  • (곱 규칙) v ( f m ) = ( v f ) m + f v m {\displaystyle \nabla _{v}(fm)=(\nabla _{v}f)m+f\nabla _{v}m}
  • (리 괄호에 대한 준동형) [ u , v ] = [ v , v ] {\displaystyle \nabla _{[u,v]}=[\nabla _{v},\nabla _{v}]}

국소 자유 가군층벡터 다발로 여길 수 있으며, 국소 자유 가군층인 D가군은 단순히 평탄한 코쥘 접속이 주어진 벡터 다발이다.

D X {\displaystyle {\mathcal {D}}_{X}} 자체는 자명하게 D가군을 이룬다.

복소 아핀 공간 C n {\displaystyle \mathbb {C} ^{n}} 위의 함수 공간 F {\displaystyle F} 가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면, F {\displaystyle F} 는 D가군을 이룬다.

  • F {\displaystyle F} 는 덧셈 및 곱셈에 대하여 닫혀 있다.
  • C [ x 1 , , x n ] F {\displaystyle \mathbb {C} [x_{1},\dots ,x_{n}]\subset F} . 즉, F {\displaystyle F} 는 모든 다항함수를 포함한다.
  • F {\displaystyle F} 는 미분에 대하여 닫혀 있다.

선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응하는 D가군

C n = { ( z 1 , , z n ) } {\displaystyle \mathbb {C} ^{n}=\{(z_{1},\dots ,z_{n})\}} 위의 선형 미분 연산자

D = α , β N n C α , β z α β {\displaystyle D=\sum _{\alpha ,\beta \in \mathbb {N} ^{n}}C_{\alpha ,\beta }z^{\alpha }\partial _{\beta }}

로 정의되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

D f = 0 {\displaystyle Df=0}

을 생각해 보자. 그렇다면, 이 편미분 방정식에 대응되는 D가군은 D {\displaystyle D} 로 생성되는 D C n {\displaystyle {\mathcal {D}}_{\mathbb {C} ^{n}}} 아이디얼 ( D ) {\displaystyle (D)} 에 대한 몫환

D C n / ( D ) {\displaystyle {\mathcal {D}}_{\mathbb {C} ^{n}}/(D)}

이다. 이 경우, D가군을 이루는 어떤 함수 공간 F {\displaystyle F} 속에서,

D f = 0 ( f F ) {\displaystyle Df=0\qquad (f\in F)}

의 해들의 공간은

hom D C n ( D C n / ( D ) , F ) {\displaystyle \hom _{{\mathcal {D}}_{\mathbb {C} ^{n}}}({\mathcal {D}}_{\mathbb {C} ^{n}}/(D),F)}

과 같다.

외부 링크

  • “D-modu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D-module”. 《nLab》 (영어). 2014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