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29

G.729는 음성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압축알고리즘이다. 공식적인 명칭은 'CELP를 이용한 8 kbit/s의 음성 부호화'(CS-ACELP)이다.).[1]

낮은 대역폭 요구사항 때문에 G.729는 대부분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 프로그램에 쓰인다.

G.729 부록

G.729 부록[2]
기능 - A B C D E F G H I C+ J
낮은 복잡도 X X
고정소수점 X X X X X X X X X X
부동소수점 X X
8 kbit/s X X X X X X X X X X X X
6.4 kbit/s X X X X X
11.8 kbit/s X X X X X
DTX X X X X X
임베디드 가변 비트레이트, 광대역 X

G.729 부록 A

G.729a는 G.729와 호환가능한 확장판이다.

G.729 부록 B

G.729는 음성 검출(VAD) 모듈이 작동하여 무음 압축 방식을 제공하는 부록 B(G.729b)로 확장되었다.

라이선스

G.729는 몇몇 회사들의 특허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이프로 랩 텔레콤'(Sipro Lab Telecom)이 라이선스를 갖고 있다. 사이프로 랩 텔레콤은 G.729 기술의 허가된 지적재산권 라이선스 관리자이자 특허 풀이다. 많은 국가에서 G.729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선스 비용 및 로열티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2017년 1월 1일 G.729 컨소시엄에서 허가된 특허의 특허 조항이 만료되었으며 만료되지 않은 나머지 특허는 로열티가 없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G.729는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각주

  1. 국제전기통신연합, 표준화 부문 (ITU-T), Study Group 15 (1993-1996), 권고 G.729, 1996 3월.
  2. ITU-T (2007년 1월). “G.729 : Coding of speech at 8 kbit/s using conjugate-structure algebraic-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CS-ACELP)” (PDF): i. 2009년 7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ITU-T 권고 G.729 - 기술적 사양
  • G.729 인터넷 전화를 위한 에러 복구
  • ITU 특허 데이터베이스
  • Sipro Lab Telecom (administers the patent pools for G.723.1 and G.729)
  • 보이스 에이지의 G.729 구현
  • v
  • t
  • e
영상 압축
ISO, IEC, MPEG
ITU-T, VCEG
SMPTE
트루모션
기타
오디오
압축
ISO, IEC, MPEG
ITU-T
IETF
3GPP
  • AMR
  • AMR-WB
  • AMR-WB+
  • EVRC
  • EVRC-B
  • EVS
  • GSM-HR
  • GSM-FR
  • GSM-EFR
ETSI
기타
이미지
압축
IEC, ISO,
IETF, W3C,
ITU-T, JPEG
기타
컨테이너
ISO, IEC
ITU-T
IETF
SMPTE
기타
협업
방식목록
  • 오디오 코딩 포맷 비교
  • 비디오 코덱 비교
  • 코덱 목록
기술에 대해서는 압축 방식을, 코덱에 대해서는 압축 소프트웨어를 참고하십시오
이 글은 컴퓨터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