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8A1 클레이모어

M18A1 클레이모어 지뢰

종류 지향성 파편 대인 지뢰
역사
개발년도 1952년 ~ 1956년
제원
중량 1.6 kg
높이 124mm

폭약 C-4
폭약중량 680g
기폭장치 Blasting Cap Assembly M4

M18A1 클레이모어(M18 Claymore mine)는 지향성 지뢰의 일종으로 인간을 목표로 하는 대인지뢰이며, 명칭은 스코틀랜드의 중세시대 검인 클레이모어를 차용했다. 미국에서 개발되어 베트남전쟁에서 처음 사용하여 매우 큰 효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지뢰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버리고 지상에 세워서 설치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효과를 얻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생산 중에 있으며(KM18A1 혹은 K440), 비무장지대일반 전초 등지에서 주로 사용한다.

사용 방법

클레이모어는 직사각형의 형태에 약간 휘어져 있고 적들이 지나다니는 길목의 땅에 세워서 설치한다. 일반적으론 전기식 뇌관이나 비전기식 뇌관을 클레이모어에 설치한다. 이 기폭장치(도화선 라이터, 격발기)를 눌러 뇌관을 터트릴 시에 클레이모어안의 C-4가 점화되면서 클레이모어 안에 들어 있는 약 700개의 쇠구슬이 하늘을 향해 발사되며 전방으로 산탄총처럼 튀어나간다. 기존의 지뢰는 땅속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폭발력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살상력이 조금 떨어졌지만 클레이모어는 땅 위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일반 지뢰보다 인명살상 규모가 더 커진다.

사용 국가

허가/무허가 생산 및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나라와 채용될때의 모델명은 다음과 같다.

Försvarsladdning 21
LI-12/Truppmina 12[3]

참조

  1. “VS-DAFM 7 Italian anti-personnel "Claymore" mine”. Technical specs at James Madison University - Mine Action Informations Center. 200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 “FFV-013 Swedish anti-personnel "Claymore" mine”. Technical specs at James Madison University - Mine Action Informations Center. 200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 “LI-12/Truppmina-12 Swedish anti-personnel "Claymore" mine”. 《Technical specs at James Madison University - Mine Action Informations Center》. 200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4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 MON-50 - 러시아판 크레모아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M18A1 클레이모어